|
1. 개발추진일정 및 실태
(Development State & Supply Places) |
|
가. 개발추진일정 |
일 자 |
추 진 사 항 |
관 련 문 서 |
비 고 |
99.04.14 |
절연경보장치 개발제안 |
동아)제99-03 |
동아→해군군수사 |
00.04.12 |
00년 연구개발 협정 대상품목통보 |
군물38416-341호 |
군수사→동아 |
00.04.19 |
국방부 개발지시 및 승인 |
국방획지33532-122호 |
국방부→군수사 |
00.04.27 |
연구개발 협정 |
협정번호`00년-010호 |
군수사→동아 |
00.08.23 |
연구 개발 시제품 제출 |
동아)제00-10호 |
동아→군수사 |
00.09.28 |
개발 시제품 기술시험 결과보고 |
정비창.품보38413-366 |
정비창→군수사 |
00.10.31 |
연구 개발품 규격서 제출 |
동아)제00-12호 |
동아→군수사 |
01.04.16 |
자체 시험 성적서 제출 |
동아)제01-13 |
동아→군수사 |
01.08.20 |
운용시험 완료보고(9개월) |
강경함 |
강경함→군수사 |
02.02.16 |
연구개발 확정품목 시달(국방규격화) |
군물38416-66 |
군수사→동아 |
02.10.09 |
절연저항 감지기(FAIL SAFE)
국내 연구개발 관련 지시(국산사용) |
해본 함정33430-374 |
해본→관련부서 |
04.01.08 |
절연감지기 소요제기 지시(통보) |
작사 구정33430-13호 |
작사→예하부대 및 군수사 |
|
|
가. 主要 납품실적 |
일 자 |
납 품 처 |
수 량 (개) |
비 고 |
2004.03 |
한진 중공업 |
000 |
해군 건조함정 LPX용 |
2004.09 |
해군군수사 |
00 |
기존함정교체용 |
2005.08 |
해군군수사 |
000 |
기존함정교체용 |
2006.01 |
강남조선 |
00 |
해군 보조선 건조용 |
2006.08 |
해군군수사 |
000 |
기존함정교체용 |
2006.05 |
현대중공업 |
00 |
이지스 1번함 (KDX-Ⅲ) |
2006.07 |
한진중공업 |
00 |
PKX건조용(검독수리) |
2007.03 |
강남조선 |
00 |
해군 보조선 건조용 |
2007.05 |
해군 보급창 |
000 |
기존함정 교체용 |
2007.09 |
대우조선해양 |
00 |
이지스 2번함 (KDX-Ⅲ) |
2008.05 |
해군보급창 |
000 |
기존함정교체용 |
2008.06 |
STX POS |
000 |
관리 선박용(10척) |
2008.07 |
한국선무 |
00 |
M/V K. COSMOS용 |
2008.07 |
두양상선(주) |
00 |
관리선박용 |
2008.09 |
강남조선 |
00 |
해군 보조선 건조용 |
2008.10 |
강남조선 |
00 |
해군 보조선 건조용 |
2008.11 |
동아세턴 |
00 |
일반상선 |
2009.01 |
STX 조선 |
000 |
검독수리 2.3.4.5번함 |
2009.5-8 |
STX 포스 |
000 |
관리선박(상선)용 |
2009.10 |
강남조선 |
00 |
해군보조선건조용 |
|
|
다. 국방규격 번호 및 명칭 |
- 규격번호 : KDS 6625-3012-2
- 시험세트, 절연감지용 (Test Set, Insulation Break) |
|
2. 각부의 명칭 및 기능 |
|
가. 內 外部 형태 |
 |
|
|
나. 各部의 명칭 |
기 호 |
명 칭 |
기 능 |
A |
전원 S/W |
Fail Safe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함 |
B |
경고설정 S/W |
1MΩ, 2MΩ, 3MΩ, 4MΩ,으로 경고 설정함 |
C |
경고 Light |
모-타의 절연이 경고 설정한 값에 도달하면 교호로 깜박임 |
D |
절연 범위 표시 Light |
모-타의 절연이 강하되어 20MΩ 정도부터 불이 켜져, 5MΩ 내려 갈대마다 하나씩 더 켜짐 |
E |
Test S/W |
정상 작동이 되고 있는지 시험용 S/W |
F |
부자 소리 구멍 |
부자가 울릴 때 소리가 들리기 위한 구멍 |
G |
보조신호용 짹 홀 |
경고가 울릴 시 12V DC가 출력됨 (다목적으로 활용) |
H |
전원 트랜스 |
회로의 작동전원 공급 용 트랜스 |
I |
경고용 부자 |
경고음 발생용 피에조 부자 |
J |
경고설정조정Screw |
경고설정 시 정확한 저항 값에 경고가 울리도록 조정 |
K |
알림설정조정Screw |
알림 Light의 정확한 저항 값을 조정함 |
|
|
다. 主要기능 |
기 능 |
내 용 |
비 고 |
경고기능 |
Motor의 절연이 강하되어 경고 설정된 위치가 되면 경고음이 발생되며, LED가 깜박임 |
기존 제품은 Light만 켜짐 |
알림기능 |
Motor의 절연상태를 항상 감지, 20MΩ부터 5MΩ단위로 강하상태를 알려줌 |
기존 제품에는 이 기능이 없음 |
회로차단기능 |
Motor가 작동시 감지회로의 전원을 자동 차단, 오작동 방지 및 회로보호
|
기존 제품에는 이 기능이 없음 |
보조신호출력 |
경고회로 작동시 DC12V가 JACK에서 출력됨
경고등이나 경고음 추가 설치, 또는 모-타 종합 현황 판 설치 시 활용 가능 |
기존 제품에는 이 기능이 없음 |
단락신호출력 |
경고 발생 시 단락신호 출력 |
MCR 신호용(신조함에) |
지속 경고 |
경고가 울리면 계속 울림. 전원을 Off 하였다가 On 시 복귀됨 |
경고 감지 누락방지 목적 |
|
3. 제품장점 |
|
가. 기능의 우수 |
상기와 같이 기능이 다양하며, 2중 3중의 안전장치가 되어 있어 절연저하로 인하여 모-타를 소손하는 일은 거의 100% 방지가 가능 함. |
|
나. 신뢰성 우수 |
개발품의 특성은 간단한 회로로 설계되어 있으며, 안전 허용한계 치를 거의 200% 주어 설계를 하여 고장이 없고 반영구적임. 거의 함정수명주기까지 사용이 가능함. (최초 설치함 약6년 동안 지금까지 고장 없이 사용하고 있음) |
|
다. 가격 저렴 및 유지가 쉬움 |
회로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,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부품으로 제작되어있어. 고장 시 함정에서 쉽게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음. |
|
라. 정상작동 여부(고장진단) Check가 쉬움 |
Motor의 S/W Box 외부에 부착 시 정상 작동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음 (Test SW를 눌러 보면 됨)
|
|
마. 오작동 방지 |
Motor 운전 시에는 감지 회로가 자동 차단되어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제거 하였으며, 모-타 정지 시에는 자동 복귀됨.(약 1분 후) |
|
바. PMS(Planning Maintenance System) 간소화 |
20MΩ부터 절연강하 상태를 5MΩ단위로 항상 알려줌으로 매월 절연저항 검사는 사실상 무의미 하며, 모-타의 절연이 1MΩ 만 되어도 가동 할 수 있는 것을 감안시 20MΩ부터 저항상태를 알 수 있음으로 사전대비 할 수 있음. |
|
사. 기존 설치된 것 고장 시 개별 교체 가능 |
기존 설치되어 있는 수입품을 최대한 사용 후 고장 시 하나씩 교체함으로서 예산절감 및 일시 소요를 줄일 수 있으며, 효율적인 자금 운용이 가능함.
|
|
|
4. 부착방법 |
|
가. 모-타 Control Box 외부에 부착 시 |
 |
1. Control Box에 구멍 3개를 만든다. ( 4mm 2개. 10mm 1개 )
2. 고정판을 부착한다.
3. 연결선을 Control Box 내부로 인입 후 Fail Safe를 고정판에 끼운다.
(사진 C참조)
4. 색깔 별로 결선한다. (결선방법 참조) |
부착된 모양 ▶
※ Switch Box 전면에 부착이 어려우면
옆면 잘보이는 곳에 부착도
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. |
 |
|
|
|
나. 모-타 Control Box 내부에 부착 시 |
 |
1. 고정판 부착용 4mm 볼트구멍 2개를 만든다.
2. 고정판을 부착하여 Fail Safe를 고정한다.
3. 보조신호 출력 Jack에 청홍 LED를 Plug를 꽂은 다음
LED Lamp를 Box외부에서 잘 볼 수 있게 고정한다.
4. 전원 및 신호용 Cable을 Fail Safe 밑 부분으로 인출하여
결선한다. |
|
|
|
5. 결선방법 |
|
구 분 |
선 No |
색 깔 |
연 결 |
전원선 |
J1 |
검정 ● |
전원 3상 중 한선 (항상 전원이 들어와 있는 곳) |
J2 |
빨강 ● |
J1이 연결되지 않은 한선 (220V 시). (결선도 참조) |
J3 |
흰색 ● |
J1이 연결되지 않은 한선 (440V 시). (결선도 참조) |
신호선 |
J4 |
노랑 ● |
모-타 쪽 3상중 임의의 한선. (결선도 참조) |
J5 |
청색 ● |
모-타 쪽 J4가 연결되지 않은 임의의 한선. (결선도 참조) |
J6 |
초록 ● |
모-타 케이스 ( 그라운드 선 ). (결선도 참조) |
접점선 |
J7 |
밤색 ● |
MCR 신호단자 용 (건조 함정에 사용) |
J8 |
밤색 ● |
MCR 신호단자 용 (건조 함정에 사용) |
|
|
 |
|
 |
6. 운용 |
|
가. 경보설정 |
* Power SW를 ON 후 1MΩ-4MΩ 중 원하는 SW를 누르면 표식 Lamp에 불이 켜짐, 양호한 모-타의 경우 3MΩ 선택을 권장함. |
|
나. 시험방법 |
* Test SW를 6-10초 계속 누르고 있으면 20MΩ부터 LED에 차례로 불이 켜진 후 경보가 울리고 LED가 교호로 깜박임.
* 정지(Reset)는 Power SW를 Off 후 다시 On 하면 복귀됨. |
|
다. 보조 신호 활용 |
* 경보가 울릴시 보조신호 출력 Jack에서 12V DC 가 출력됨, S/W Box가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있을 시 선을 연결하여 잘 보이는 곳에 추가 하여 Lamp나 경보기를 설치 할 수 있음.
* Fail Safe를 모-타 Control BOX 내부에 부착 시 멀티 LED Lamp Jack을 꽂은 후 Lamp를 Control Box 외부에서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함. |
|
라. 결선 |
* 모-타가 운전 중에는 절연이 떨어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오작동 방지 자동차단 회로 J4 Line을 반드시 연결하여 사용 할 것을 권장함. |
|
마. 부착위치 |
* MCR(ACC판낼)로 모-타의 절연경보 표식이 연결되지 않은 기존 함정은 Fail Safe를 가급적 SW Box 외부에 부착하여 운용 할 것을 권장함.
* S/W Box 외부 전면에 부착이 곤란한 것은 옆면 잘 보이는 곳에 부착사용하여도 무방함. |
|
바. 주의사항 |
* Fail Safe가 부착된 모-타를 메가 Test 또는 고압시험시 반드시 Fail Safe의 연결선을 off 후 실시 하여야 함. |
|
7. 참고사진 |
|
A. Fitting plate & warning Light (installed inside) |
 |
|
B. connection cable |
 |
|
C. The figure of outside installation of switch box |
 |
[It does not need the Multi LED lamp in case of outside fitting] |
 |
|
|